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

데크오븐과 컨벡션오븐, 제과용으로의 차이점 오븐은 제과 제빵에서 결과물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핵심 장비입니다. 특히 업소용 혹은 실전 제과 환경에서는 데크오븐과 컨벡션오븐 이라는 두 가지 주요 오븐 중 어떤 장비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제품의 품질, 생산성, 맛, 식감, 작업 효율에까지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데크오븐과 컨벡션오븐의 구조적 차이, 열전달 방식, 제과 결과물의 물성 변화, 그리고 각 오븐에 적합한 제품군을 과학적이고 실전적인 기준으로 비교 분석합니다.1. 데크오븐과 컨벡션오븐의 구조 및 열전달 방식 비교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차이점은 각 오븐의 열전달 방식;입니다. 오븐은 열을 반죽에 전달하는 도구이며, 이 방식에 따라 내부 온도 균형, 굽기 속도, 수분 유지력 등이 달라집니다.데크오븐 (Deck Oven)구조: 평평.. 2025. 7. 29.
발효 방식 비교 (저온숙성, 1차·2차 발효, 과학적 접근) 제빵에서 발효는 단순한 팽창 과정이 아니라, 풍미와 식감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냉장 장기 발효는 저온에서 천천히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효모의 활동을 조절하고 맛에 깊이를 더하는 과학적 원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온숙성의 특징과 1차,2차 발효의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이 빵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알아봅니다.저온숙성의 과학냉장 장기 발효는 저온숙성(cold fermentation)으로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4℃ 내외의 환경에서 12시간 이상 진행됩니다. 이 방식은 제빵사들 사이에서 빵의 풍미를 극대화하는 고급 기술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효모가 저온에서도 서서히 활동하며 발효 부산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저온에서는 효모의 증식 속도는 느려지지만, 아밀라아제와 프로테아.. 2025. 7. 28.
버터, 종류별 맛 차이 유지방 함량과 향의 과학 버터는 베이킹의 핵심 재료입니다. 크루아상에서 쿠키까지, 버터는 풍부함과 부드러움, 그리고 특유의 고소한 향을 더해줍니다. 하지만 모든 버터가 같은 것은 아닙니다. 유지방 함량, 교반 방식, 젖소의 사료까지도 버터의 맛, 향, 굽기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버터는 수중유형 유화물(water-in-oil emulsion)입니다. 크림을 교반 하여 지방이 분리되며 만들어지며, 일반적인 미국산 버터는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80% 유지방16~18% 수분1~2% 유고형분(단백질, 당 등)유럽식 버터는 82~86%까지 유지방을 포함하며, 수분이 더 적고 풍미가 진합니다. 이 높은 지방 함량은 격렬 구조, 부드러움, 풍부함에 큰 영향을 줍니다.실험에 사용된 버터 종류일반 가염 버터 (80% 유지방)무염.. 2025. 7. 28.
발효의 미학, 냉장 숙성이 빵에 주는 변화 빵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가 바로 발효입니다. 특히 냉장 장기 발효는 일반적인 실온 발효보다 훨씬 오랜 시간을 들여 빵의 맛과 향, 식감을 끌어올리는 기술입니다. 냉장 숙성이 왜 빵의 풍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학적 원리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냉장 발효의 원리: 시간과 온도의 과학냉장 발효는 일반적으로 섭씨 4도 이하의 저온에서 반죽을 12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때 효모는 저온에서도 천천히 발효를 지속하며, 반죽 속 당분을 분해해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은 발효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과발효를 방지하고, 빵의 조직을 더욱 탄탄하고 쫄깃하게 만들어줍니다. 냉장 상태에서 효모는 활동을 멈추지 않고, 오히려 천천히 당분을 소비하면서 산도와 풍미가 .. 2025. 7. 27.
제과 실습에서 활용되는 온도,습도계 활용법 1. 제과 실습에서 활용되는 온도, 습도계 활용법 실패 없는 디저트의 첫걸음제과 실습을 하다 보면 왜 이건 이렇게 부풀지 않았지? 이 마카롱은 왜 이렇게 꺼졌지? 오늘은 쿠키가 너무 딱딱하게 구워졌네? 하는 상황을 자주 겪게 됩니다. 이럴 때 흔히들 레시피나 재료 탓을 하지만, 사실은 그보다 온도와 습도 관리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제과 실습에서 온도계와 습도계의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온도와 습도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제품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수치를 정확히 측정하고 조절하는 것이 고급 제과 기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2. 온도, 습도계가 꼭 필요한 이유제과는 단순한 요리가 아닙니다. 엄밀히 말하면 과학입니다. 밀가루의 단백질이 어떻게 반응하.. 2025. 7. 27.
파이도우, 박력분과 중력분 식감 차이 분석 완벽한 파이 크러스트의 비밀은 반죽을 어떻게 다루는 가뿐만 아니라, 어떤 밀가루를 사용하느냐에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홈베이커는 편의상 중력분(다목적 밀가루)을 사용하지만, 만약 대신 박력분을 사용한다면 어떤 차이가 생길까요? 식감, 결결 구조, 전체적인 느낌이 어떻게 달라질까요?밀가루의 단백질 함량 이해하기밀가루는 단순한 밀가루 가루가 아닙니다. 그 속은 전분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단백질 함량에 따라 글루텐 생성량이 달라집니다.밀가루 종류단백질 함량주요 용도케이크용 박력분6~8%케이크, 머핀 등 부드러운 제품파이용 박력분8~9%파이 크러스트, 비스킷 등중력분10~12%일반적인 베이킹 전반강력분12~14%빵, 피자 도우 등 쫄깃한 제품실험 조건완전히 동일한 파이 반죽을 두 배치 준비하되, 오직 밀.. 2025. 7. 27.